플랫폼 갑질·독점적 지위 남용 방지 위한 제도화 논의 시급
금융감독원이 ‘카카오 먹통’ 사태 이후 진행한 카카오페이 현장 점검에서 시스템 위규 사항을 발견해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
지난달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카카오페이에 대한 현장 검사에 돌입했다. 앞서 금감원은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먹통’ 사태가 발생한 뒤 전체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과 관련해 현장 점검을 했다. 그 결과 가장 먼저 현장 점검을 받았던 카카오페이의 시스템 등에서 위규 사항이 발견돼 점검에서 검사로 전환한 것이다.
금감원은 카카오페이의 데이터센터 이원화 시스템이 적절했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데이터센터 이원화 시스템은 기업의 전산 업무를 담당하는 주전산센터의 재해복구센터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금감원은 데이터센터가 한쪽이 문제 생겼을 때 빠른 시간 내 백업할 수 있도록 시스템 라인을 두 줄로 깔아야하는데 그게 미흡했다고 보고 있다.
카카오 서버먹통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카카오의 주전산센터에 불이 났는데, 재해복구센터로 데이터가 이전되지 못해 카카오 관련 모든 서비스가 약 이틀간 중단됐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와 함께 판교 센터에 입주해 있는데, 판교 센터 시스템 전원이 한꺼번에 차단돼 자동 이전이 어려워진 탓이다. 카카오페이는 화재 등 재해가 발생했을 때 정상 가동하는 데이터센터로 트래픽이 자동 전환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카카오페이가 서버를 이중화하는 과정에서 미비했다고 판단할 여지가 있다”면서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뱅크의 현장 점검에서 위규 사항이 밝혀지면 곧바로 검사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우티’, ‘타다’ 등 카카오T와 제휴하지 않은 가맹택시 기사는 ‘카카오T’를 이용할 수 없다고 지난 7월 공지한 데에 이어, 실제로 일반 호출 중개 서비스에서 다른 브랜드 택시를 배제하고 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시장 진입 당시 호출 서비스 등을 무료로 제공해 시장점유율을 급격히 높여왔다. 그 결과 현재는 호출 플랫폼 시장의 80%를 장악한 사실상 시장지배적 사업자다. 문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시장점유율을 한껏 높인 뒤 호시탐탐 유료화를 시도하는 데다가 다른 기업의 시장진입까지 막고 있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불공정거래행위이며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하는 시장 경제 교란행위가 아닐 수 없다. 카카오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많은 플랫폼 기업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시장질서를 왜곡하고 있는데도 이를 규제할 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더 심각한 문제이다. 변화와 확장이 매우 빠른 플랫폼 경제의 특징을 고려할때 온라인 플랫폼의 갑질과 독점 문제를 방치하면 혁신을 빙자한 착취 등 갑질과 독점 폐해로 소도 잃고 외양간도 손 못대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국회가 이번 정기회에서 온라인 플랫폼의 시장지배적 지위남용과 불공정 거래행위 근절을 위한 입법 논의를 적극 추진할 것을 촉구한다.
모든 기업들이 독점에 대한 유인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산업에 비해 플랫폼 경제는 그 특성상 더욱 독점을 추구한다. 시장진입 초기에 막대한 자금력으로 손해를 감수하면서 시장을 장악하고, 이후 유료화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 하는 한편, 경쟁기업의 시장 진입을 막는 것을 플랫폼 기업들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이유이다. 운송시장에서는 전국 택시기사 90%인 23만 명, 승객 가입자 2,800만 명이 가입하여 시장 80%를 장악한 카카오모빌리티가 대표적이다. 2019년 본격적으로 가맹택시 사업에 진출하며 심판이면서 선수가 된 카카오모빌리티의 타사 가맹택시 배제 행위는 사실상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이며, 부당 거래 거절, 차별 취급 등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한다.
한편, 미국의 경우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반독점법 제정에 나서면서 플랫폼 기업들에 대항하고 있다. 지난 6월 25일 민주당과 공화당이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거대 온라인 플랫폼 기업을 겨냥하여 공동 발의한 반독점 패키지 법안 ‘더 강한 온라인 경제: 기회, 혁신, 선택(A Stronger Online Economy: Opportunity, Innovation, Choice)’이 미 하원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이 중 ‘미국 온라인 시장의 혁신 및 선택에 관한 법률(American Innovation and Choice Online Act)’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의 타사 가맹택시 배제와 같은 ‘자신의 제품·서비스·사업을 타 사업자에 비해 우대’하거나, ‘타 사업자의 제품·서비스·사업을 배제하고 불이익’을 주거나, ‘서로 유사한 지위에 있는 사업자들을 차별 대우’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뿐만 아니라 지난 7월 바이든 대통령은 독과점적 시장구조의 개선 및 경쟁제한 폐해 시정을 위해 ‘미국 경제에서의 경쟁 촉진에 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Promoting Competition in the American Economy)’에 서명한 바 있다. 이미 EU나 일본은 온라인 플랫폼 중개거래를 규율하기 위한 법을 시행 중이다. 플랫폼의 불공정행위와 독점적 지위를 남용한 과도한 이익추구 행위가 입점업체와 소비자 피해를 초래하고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해 공정한 중개거래 질서 구축을 넘어 독점 규제를 위한 행정적 조치와 입법 시도가 이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과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확장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규제화 논의는 첫발조차 떼지 못하고 있다. 각종 피해가 켜켜이 쌓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는 법안 논의를 미루며 강 건너 불구경 중이다. 규제 사각지대에서 혁신으로 포장된 갑질과 독점 횡포를 방치할 경우, 그 피해는 입점업체와 소비자는 물론이고, 결국 산업 전반으로 향할 것이다. 정기국회에서 쿠팡, 카카오 등의 불공정거래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을 처리하고, 이를 발판 삼아 소수의 거대 플랫폼에 경제력이 집중되는 문제를 예방 및 해소하기 위한 논의로 나아가야 한다. 재차 강조하지만, 시간이 없다. 국회가 온라인 플랫폼의 갑질과 독점 방지를 위한 법안 논의에 박차를 가할 것을 촉구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태원 할로윈 참사 악용한 악성코드 피싱 스미싱 조심 (0) | 2022.11.03 |
---|---|
마요네즈병과 와인잔의 인생 교훈 (2) | 2022.11.02 |
손가락별 반지 의미 반지손가락 (0) | 2022.11.01 |
전국 맛집 리스트 2022년 최신판 파일첨부 (0) | 2022.10.30 |
2023년 현대백화점 VIP 선정 기준 (1) | 2022.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