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PM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에서 카카오 애드핏과 구글 에드센스 광고를 관리하다 보면 만나게 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CPA, CPE, CPI, CTR, CPC, CPM, 등 광고의 목적과 노출에 따라 무수히 나뉘는 용어들 입니다. 블로그 광고 수익을 일반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은 CPC(Cost Per Click), CTR(Click Through Rate), CPM(Cost Per Mille)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그중 카카오 애드핏에서 자주 볼 수 있는 eCPM이란 용어는 무슨 말인지 몰라서 더 당황하게 됩니다. 모바일 마케팅을 보면 광고 수익을 계산할 때 eCPM을 관리하고 높여야 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PM와 eCPM의 차이점
CPM은 광고 1,000회 노출당 비용을 뜻하며, 광고 노출 수를 기반으로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광고주가 $3/CPM으로 모바일 앱에 게재할 배너를 구매한 경우, 광고가 10,000회 노출되면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30를 지불하게 됩니다. ($3 / 1,000회 노출 x 10,000회 노출 = $30)
eCPM은 유효 광고 1,000회 노출당 비용을 뜻합니다. eCPM을 다룰 때 주의 깊게 봐야 하는 부분은 효과이며, 광고 성과를 비교적 단순하게 계산하는 CPM과 실적을 비교하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하지만 eCPM이 높으면 블로그에 게재된 광고가 효과적이고, 방문자의 광고 클릭이 원활하게 이루어 집니다.
2. eCPM은 왜 중요한가?
eCPM은 1000회 광고 노출당 게시자가 얻는 수익의 예상수익이며, 총 수익 / 노출 수 x 1000으로 계산합니다. 그렇다면 eCPM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eCPM은 광고를 수익화할 때 효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거들에게 중요한 수치입니다. 예를 들면, 광고로 A, B 캠페인을 진행하여 A 캠페인은 500회 노출과 $12 수익을 기록했고, B 캠페인은 900회 노출과 $10 수익을 기록했다고 가정해봅시다. 단순한 캠페인 수치와 수익 금액만으로는 두 광고의 실적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것을 eCPM으로 계산해보면 A 캠페인은 $24, B 캠페인은 $11로 A 캠페인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블로그의 주제와도 매우 관계가 있습니다.
3. eCPM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광고의 연관성을 올리자!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광고를 노출하는 것은 클릭률과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유저들이 광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수록 ECPM도 높아지게 됩니다. 광고를 노출할 타겟의 연령대, 성별, 지역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서 타겟층을 세분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를들면, 구글 애드센스같은 경우는 의류에 대한 포스팅을 쓰면 대부분 의류광고가 뜨고, 맛집이나 배달음식 관련 글을 적으면 배달앱 광고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애드핏보다 애드센스의 수익율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속합니다.
※야식으로 먹은 떡볶이 리뷰에 뜨는 배달앱 광고 (애드센스)
※스타벅스 커피 음료 리뷰에 뜨는 원두 광고 (애드센스)
(2) 다양한 위치에 광고를 노출하자!
방문자들이 쉽게 보고 긍정적으로 반응할 곳에 광고를 노출시켜야 합니다. 너무 부자연스러운 위치나 대놓고 보여주는 광고는 방문자의 거부감을 살 수 있기 대문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광고 때문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좋은 광고 성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에서 광고를 시도해서 위치에 따른 광고 성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대부분 블로거들은 본문에 광고를 많이 띄우는 편입니다. 사이드광고는 블로그 부팅시간을 늘릴뿐입니다.
(3) 다양한 광고 형식을 이용하자!
모든 광고 형식은 다른 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광고 형식은 다른 광고 형식들보다 더 높은 ECPM을 만들어 냅니다. 특히 동영상이 높은 ECPM을 만듭니다. 하지만 동영상이 높은 수익을 가져다준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동영상만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광고와 적합한 광고 형식을 택해서 사용자 경험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종종 구글 애드센스에서 동영상을 광고를 볼 수있습니다. 이것이 하나의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 17일과 23일의 수익을 비교해 보면, 17일이 클릭수에 비해 수익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eCPM은 23일이 더 높습니다.
4. CTR이 광고 수익을 정한다
광고의 eCPM을 우선 지표로 설정했다면 다른 무엇보다 CTR(Click Through Rate)을 우선순위에 두고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는 보통 수익에 대해서 광고비용 / 클릭 수로 계산하지만 클릭 수는 노출 수 x CTR로 바꿔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결국, 광고 비용 / (노출 수 x 클릭률)로 계산합니다. 결국 CTR이 eCPM을 결정하는 열쇠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방법으로 CTR을 더 높일 수 있을지 알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티스토리 블로거들은 자신의 블로그에 애드핏이나 애드센스 광고 노출에 대해서 다이내믹 리워드를 선택합니다. 다이내믹 리워드는 노출하기만 하는 광고에서 벗어나 블로그 글 내용과 방문자들과의 뛰어난 관계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포스팅된 글에 알맞은 리워드 광고를 노출하여 방문자들의 클릭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변치 않는 점은 많은 키워드로 많은 글을 꾸준히 적어야한다는 것입니다. 방문자가 늘어야 클릭수도 올라 갈 수 있을테니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티스토리 당신의 선택은? 무료스킨 or 유료스킨, 애드핏 or 애드센스
티스토리 vs 네이버블로그 나와 맞는 블로그는 무엇일까?
'디지털노마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해결하기 (4) | 2021.05.16 |
---|---|
티스토리 "일시적인 문제로 글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해결 (0) | 2021.05.14 |
티스토리 오류 "데이터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5) | 2021.05.08 |
티스토리 오류 다음 검색 누락 글 누락 (블로그 통누락 말고) (2) | 2021.05.06 |
티스토리 당신의 선택은? 무료스킨 or 유료스킨, 애드핏 or 애드센스 (6) | 2021.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