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100시간 일하는 사람들의 열정
도대체 얼마나 일해야 성공할 수 있을까? 가끔 이런 막연함이 들어서 괴롭기도 하다. 분명 잘하고 싶은데 정량적으로 몇 시간 일해야 노력의 기울기가 성공 쪽으로 기울까 궁금하다. 이처럼 의지가 겨우 생겼는데 방법과 가이드가 몰라서 무작정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다가 무리를 하기도 하고 생각보다 덜 하기도 해서 성과가 잘 보이지 않는다. 성공하고 싶다면 100시간은 기본이다.
주 100시간은 기본이다.
엘론 머스크는 주에 80~100시간은 일한다고 합니다. 주 5일로 생각하면 하루에 16~20시간인데 절대 불가능해 보이고주 7일에 80 ~ 100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하루에 11~14시간인데 업무량이 엄청나다.
그런데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은 맞지만 어떠한 분야에서 최정상에서 달리고 있는 사람을 보면 대부분 100시간 동안 일을 한다고 합니다. 그 정도로 자신을 갈아 넣지 않고서는 불가능 하지요.

일론 머스크가 졸업 연설에서 말했던 내용인데요.
Now is the time to take risks, you don't have kids. As you get older, your obligations increase and once you have a family, you start taking risks not just for yourself but for yourfmaily as well. It gets much harder to do things that might not work out. so now it the time to do that. before you have those obligations. so I would encourage you to take risk now, do something bold
이제 위험을 감수할 시간이다. 너는 아이가 없다. 너가 나이가 들수록 너의 의무는 증가하고, 네가 가족이 생긴다면 너의 리스크가 너뿐만 아니라 너의 가족 또한 가지게 된다. 이것이 더욱 하기 힘들게 만든다. 그래서 지금 그것을 할 시간이다(리스크를 감수할). 네가 이러한 의무를 가지기 전에 그래서 나는 너에게 지금 위험을 감수하고 대담한 일을 하라고 한다.
앨론 머스크 본인은 이러한 것을 실천 했던것으로 보입니다. 처음에는 단칸방에 자신과 형제가 살았는데 컴퓨터가 한 대밖에 없어서 반은 형이 반은 자신이 썼다고 합니다. 한 명은 어쩔 수 없이 밤에 쓸 수밖에 없었고 그렇게 컴퓨터는 24시간 동안 풀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space x 발사를 연속으로 3번 실패하고 테슬라도 위험에 빠져있는 상태에서 자신이 살릴 수 있는 것은 회사 한 개여서 도박하는 심정으로 돈을 나누어 투자했습니다. 운이 좋아 지금 두 개다 성공했지만약에 잘 안되었다면 아마 파산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평범하지 않은 삶을 살고 싶다면, 평범하지않은 노력을 해라. 왕관을 쓰려거든 왕관의 무게를 견뎌라 등의말들이 있다. 논리적일 것만 같은 재무관리 분야에서 단리복리 계산식보다 내 기억에 선명하게 각인된문구도 비슷했다.
Take risk, take return (위험을 감수하라)이 말들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바로 주 100시간 일/학습하기이다.
주 100시간을 실현하는 방법우리나라에서 '평균'(누굴 가지고 평균을 구한 건지는 모를 일... 초과근무자가 주변에 굉장히 많던데)적인 주당 근무 시간은 5 days8 hours === 40 hours/week이다. 자기가 하는 일과 정확히 같은 방향성으로 100시간을 채우려 해도 60시간을 더 쌓아야 한다.
주 100시간을 하는 사람들은 뭔가를 따라잡고 싶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정량적으로 봤을 때 생계를 위해 일하는 시간인 40시간을 제외하고 60시간은 자기 계발 등 나의 성장에 투자해야 한다. 여기서 핵심은 잠을 7시간씩 충분히 자는 것이다. 잠은 뇌를 청소해주고 컨디션을 다시 올려주는 보약이기 때문이다.
주 100시간. 말만 들어도 토할 것 같다. 그러나 이 100시간 법칙을 꾸준히 실행해 성공한 사람들이 있다. 대표 프로듀서이자 아티스트인 박진영과 연예인 유재석도 100시간 클럽에 들어와 있다. 그들은 본업 외에도 끊임없는 공부, 연습, 운동 등으로 주 100시간을 채우고 있다. 유재석은 “내가 하기 싫은 걸 꾸준히 해야 하는 거예요. 그런데 이걸 계속한다고 된다는 보장이 없어요. 그런데 해야 해요.”라고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걸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어떤 성과를 넘어 성공을 경험한 사람들이 하나 같이 하는 이야기다.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도 주당 80-100시간씩 일한다. 그렇게 일해야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남들보다 앞서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성공한 사람들의 빛나는 아우라를 걷어내 보면 그들이 걸었던 지독한 시간들이 보인다. 주 100시간 일하기, 하기 싫은 일을 몇십 년 동안 꾸준히 하기, 잘 된다는 보장이 없어도 계속하기 등등 지겹고 힘든 일을 누구보다 꾸준히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를 해내고 싶다면 이 지겨운 구간을 지나가야 한다. 이 시간이 괴로운 것 만은 아니다. 100시간을 하면서 실력은 늘고 속도는 빨라지고 퀄리티 또한 좋아지기 때문이다. 고통의 시간이 아닌 성장의 시간으로 바라보고 100시간 클럽에 들어와 보자. 주 100시간씩 1년이면 어느 정도 전문가가 되는데 충분한 시간이다. 믿기지 않는다면 직접 실천해서 증명해보자. 이미 적지 않은 사람들이 100시간씩 일해서 전문가가 되어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 스팸관련 정보통신망법 개정 추진 (0) | 2022.11.07 |
---|---|
이파인 교통범칙금 사칭 문자 스미싱 피싱 사이트 (0) | 2022.11.06 |
북한 NLL 탄도미사 발사! 울릉도 공습경보 (0) | 2022.11.03 |
이태원 할로윈 참사 악용한 악성코드 피싱 스미싱 조심 (0) | 2022.11.03 |
마요네즈병과 와인잔의 인생 교훈 (2) | 2022.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