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를 착용해도 안경이 흐려지지 않는 방법>
안녕하세요! 호기심도 식욕도 왕성한 핑크바니입니다.
햇볕이 강한 날은 선글라스를 쓰고 외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마스크를 쓰면 아무래도 선글라스가 흐려져서 곤란합니다. 그러고 보니 안경을 쓰고 있는 친구도 같은 고민을 했던가. 닦아도 닦아도 시야를 가로막는 렌즈의 흐림은 매우 스트레스인 것입니다. 마스크를 써도 렌즈가 흐려지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궁금해서 알아봤어요
왜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렌즈가 흐려져 버리는 것일까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하면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생긴 틈새로 호흡에 포함된 수증기가 흘러나옵니다. 입김과 바깥공기의 온도차가 크면 수증기가 식어 물로 돌아가 물방울이 돼 렌즈에 묻어 흐린다는 것. 그렇다면 렌즈가 흐린 것을 막기 위해서는 가급적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을 막아야 한다는 얘기다.
날숨이 잘 새지 않도록 설계된 밀착 타입의 마스크가 시판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만, 좀처럼 구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가지고 있는 마스크에 한 번 수고를 들여서 할 수 있는 대책을 소개합니다.
1. 마스크 안쪽 상단에 티슈를 더하다
마스크의 상단에 네 번 접은 티슈를 대고 착용하여 습한 날숨을 흡수시켜 흐림을 방지합니다. 티슈를 마스크의 폭에 맞추어 맞추면, 외형에도 위화감 제로. 티슈는 땀에 축축해지면 바로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입니다.
2. 마스크 윗부분을 접다
가지고 있는 마스크의 윗부분을 한 번 접어서 착용하기만 하면 숨이 잘 새지 않게 됩니다. 안쪽, 바깥쪽 어느 쪽으로 접어도 OK. 얼굴 크기보다 큰 마스크를 착용할 때에도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단, 마스크의 형태에 따라 잘 접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 타입의 일회용 마스크에 적합. 마스크를 접으면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입과 코가 마스크에서 나오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3. 시판 노즈 퍼트를 장착하다
마스크에 붙여 코와 뺨의 틈새를 메우는 전용 스폰지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티슈보다 밀착도가 높고,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입도 있어 경제적입니다.
마스크와 얼굴의 틈새를 막는 이러한 아이디어는, 꽃가루나 바이러스 예방이나 재해시의 먼지 대책에도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4. 김서림 방지 렌즈의 안경을 쓰다
안경 제조사 각사는 발수성이 높은 특수 코팅을 한 김서림 방지 렌즈 안경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렌즈가 흐리기 쉬운 장마철이나 라면을 먹을 때, 조리할 때에도 효과적입니다.
5. 흐림 방지제로 렌즈를 코팅하다
렌즈에 피막을 만드는 계면활성제등을 포함한 것으로, 가지고 있는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렌즈에 사용해 코팅하기만 하면 됩니다. 젤이나 스프레이, 직물 등의 타입이 있습니다.
렌즈가 더러워져 있으면 수증기가 먼지에 부착되어 흐리기 쉬워진다고 합니다. 흐림 예방 아이디어에 더해 렌즈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도 유의하도록 합시다.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방법은?>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만, 우선, 마스크는 용도별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대요.(몰랐습니다!).
예를 들면, 꽃가루 입자의 사이즈는 3μm(※)이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0.1μm로 입자의 크기 가 다릅니다. 즉, 바이러스 대책에는 바이러스 대책 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면 바이러스를 막는 효과가 내려가 버립니다. 꽃가루 대책용 마스크는 입자가 작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마스크를 통과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 μm는 마이크로미터(미크론)로 1밀리미터의 1000분의 1
1. 마스크의 종류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있습니다만, 그 중에는 막을 수 있는 입자의 크기별로 표시가 붙어 있는 것이 있습니다. 바이러스 대책에는 차단율 시험인 「PFE(라텍스 미립자 차단 효율 시험/0.1μm)」의 기준을 클리어 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PFE" 표시가 있는 마스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초미세먼지, 사스 바이러스 등의 작은 입자도 막을 수 있습니다. 다음에 「VFE(생체 바이러스 차단 효율 시험/0.1~5.0μm)」의 표시가 있는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바이러스 비말용, 「BFE(박테리아 여과율 시험/3.0μm)」라고 하는 표시가 있는 마스크는 화분이나 감기등의 바이러스 비말용으로 용도가 나뉘고 있습니다.
또한 마스크는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2. 바르게착용하는방법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방법】
1. 마스크 착용 전 깨끗하게 손을 씻는다
2. 마스크 위아래를 잡아당겨 마스크를 잘 펼친다
3. 얼굴에 대고 고무줄을 양쪽 귀에 건다.
노즈피스(마스크 상단에 있는 변형 자유자재의 시트 모양)를 코 모양에 밀착시켜 단단히 누르고 나서 턱까지 가리도록 마스크를 펼친다.
4. 코나 마스크 옆부분 등에 틈새가 없는지 확인하여 코와 입이 마스크로 빈틈없이 덮여 있도록 한다.
그렇군요. 마스크를 쓸 때 확실히 턱 밑까지를 덮도록 하는 것이군요.
참고로 마스크는 벗을 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표면이나 안쪽을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마스크에 바이러스가 묻어 있으면 손에 묻어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 버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버릴 때는 비닐 봉지에 넣으면 더 확실하게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장시간 마스크 사용
장시간 외출할 때는 마스크용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로마의 좋은 향기로 리프레쉬 할 수 있는 것, 꽃가루의 장벽 기능을 더욱 강화해 주는 것, 항균 효과를 높여 주는 것 등 여러 종류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숨쉬기가 힘들지 않도록 고안된 입체형 마스크와 실크를 배합한 착용감을 고려한 마스크, 민트가 향기나는 마스크, 작은 얼굴로 보이는 마스크도 인기라고 합니다. 마스크의 효과뿐만 아니라 더 쾌적하고 세련된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거네요. 어쩌면 한국의 마스크는 세계 제일의 품질일지도 모르겠네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또 박눌 이야기》 (0) | 2021.02.16 |
---|---|
발렌타인 데이와 GABA 초콜렛 (0) | 2021.02.15 |
버킷리스트 작성 전 알아보는 뜻과 작성방법 (0) | 2021.02.12 |
세탁기의 올바른 유지관리 방법 (0) | 2021.02.09 |
뇌에 쌓여 있는 독소를 해결하자! (치매예방)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