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구글 업데이트, 필요한 정보 먼저 노출

by @블로그 2022. 8. 16.
반응형

구글 업데이트로 가짜정보 40%↓다운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 구글은 정보 검색시 '추천 스니펫'(간단한 설명)에 신뢰할 만한 정보를 한층 부각하는 방식으로 검색 기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추천 스니펫은 사용자가 검색했을 때 페이지 상단에 검색 결과나 출처에서 정보 일부를 알려주는 작은 박스다.

지금까지는 구글에서 정보를 검색하면 간단한 설명의 스니펫이 단순 나열되지만 앞으로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맨 위에 더 크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지구까지 빛이 도달하는데 얼마나 걸리나'를 검색할 때 지금은 이를 설명한 문장이 나오지만 앞으로는 가장 중요한 내용인 '8과 ⅓분'이 크게 먼저 표시된다. 구글은 이번 개선이 이용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걸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은 이를 위해 검색 인공지능(AI) 검색 기술(Multitask Unified Model·MUM)의 기능을 개선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검색 기술로 하나의 정보에 대해 신뢰할 만한 많은 문서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검색 결과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가 신뢰도 높은 고품질의 문서에 공통으로 있는 검색 결과를 추천하면서 잘못된 정보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된다고 구글은 기대했다.

판두 나약 검색총괄 부사장은 "이번 업데이트 테스트 결과 그동안 보여줬던 잘못된 정보의 약 40%가 줄어든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구글은 영문판을 시작으로 다른 언어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스니펫의 종류

1.일반(regular)스니펫
일반 스니펫은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조로서 URL, 제목, 세무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URL, 제목, 세무설명이 일정 글자수를 초과하게 되면 … 으로 표시된다. 워드프레스의 Yoast SEO라는 플러그 인을 사용하면 구글에서 표시되는 스니펫을 미리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2.리치(rich)스니펫
리치 스니펫은 일반 스니펫에 평점이나 사진 혹은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스니펫을 의미한다. 내가 작성한 글이 리치 스니펫으로 표시될 경우 검색자의 주의를 끌기 쉽다. 따라서 좀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나의 웹사이트로 방문할 확률이 높아진다.

3.추천(featured)스니펫
추천 스니펫은 검색의도에 가장 적합한 정보를 검색엔진 상단에 제공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추천 스니펫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 하다. 대부분의 추천 스니펫은 비교적 짧은 글과 그림으로 표시되는 문단형식(Paragraph)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목록이나 표로 된 스니펫이 있으며 적은 비율로 비디오 영역이 존재한다.


구글은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기 위한 검색 기능 강화에 신경쓰고 있다.

지난해에는 검색 결과 순위의 이유를 설명해주는 '이 검색 결과에 대해서(About this result)라는 페이지를 선보였다. 이 페이지 뷰는 현재 24억회에 달한다.

구글이 이처럼 신뢰할 만한 정보 검색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여전히 이용자들이 거짓 정보에 노출돼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구글이 미디어 조사기관에 의뢰해 7개국(8천5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보 활용 능력에 관한 글로벌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는 '매주 잘못된 정보를 접한다'고 답했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인도, 브라질, 나이지리아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중 35.7%는 '매일', 26.5%는 '일주일마다' 잘못된 정보를 접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잘못된 정보에 대해 젊은 세대일수록 적극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확인에 '전혀 자신이 없다'는 응답이 Z세대(18∼25세)와 밀레니엄세대(26∼41세)는 각각 6%와 10%에 그쳤고, '자신 있다'는 응답은 각각 94%와 90%에 달했다.

베이비부머(58∼67세)와 그 이상 세대는 '전혀 자신이 없다'는 응답이 각각 16%와 2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보 확인 수단(복수 응답)으로는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44%), 왓츠앱이나 텔레그램과 같은 메시징앱(39%)을 통한다는 답이 많았다.

스니펫은 작은 조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검색엔진 최적화에서 스니펫은 키워드에 대한 정보나 질문(quary)에 대한 대답을 보여주는 글을 의미한다. 구글에서 일반적인 스니펫의 구조는 URL, 제목, 세부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URL, 제목, 세부설명은 웹사이트 소유자가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구글에서 검색결과에 더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문장을 대신 보여줄 수도 있다. 따라서 같은 페이지라도 검색어에 따라서 다른 스니펫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