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학교 졸업 논물 쓰는 법

by @블로그 2022. 8. 10.
반응형

대학에서 꼭 논문을 써야하는가?



일단 논문 계획서(proposal)는 학교마다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거의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 집니다.

서론-주제관련된 일반적 내용+문제제기+왜 이 연구를 해야 하는가? 하는 내용이 이야기를 하듯이 논리적으로 구성이 되어야 합니다.

이론적 배경-주제 관련된 핵심적인 논문들을 읽고 이론적배경 작성합니다. 본심이 아니기 때문에 논문 대략 10편 정도 읽고 작성하셔도 큰 문제가 없을것입니다(혹시 학교 혹은 학과 내부 규정이 있는지 확인 필수).

연구 방법- 가장 중요한 부분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이 연구가 가능한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어야 합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연구대상(구체적으로 연령대, 성별등을 제시해야함 ), 연구 도구(설문지, 인터뷰, 관찰 등)를 제시해 주어야 합니다.


<졸업 논문 쓰는 법>

목차
1. 들어가며
2. 서론
3. 선행연구정리
4. 연구대상
5. 연구방법
6. 연구결과
7. 결과분석
8. 결론
9. 나가며
10. 참고문헌


작성법 예시)

1. 들어가며(전반적인 요약)
대학은 학문이 상아탑이 맞는가? 나는 ~~한 계기로 이런 의문을 갖게 되었고, ~~한 연구가 의미가 있을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런 연구를 통해서 ~~~~라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2. 서론(왜 이 연구를 하고 싶은지에 대한 논리적 배경, 설명)
한국에서 대학은 ~~한 의미이다. ~~뉴스에 따르면 ~~하다고 한다. 대학진학률이 00 퍼센트인데 대학원은 사람이 없어서 골머리를 앓고있다. 그래서 나는 ~~~ 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에 대해서 연구를 할거다!

3. 선행연구정리(나와 비슷한 의문을 가졌던 선배학자들은 이런식으로 연구를 했더라, 그런데 거기에 부족한 점이 있고 나는 그것을 연구하겠다.)
내가 관심을 가진 ~~라는 주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식으로 연구가 되었다. 김00은 ~~에 대해서 ~~를 통해서 ~~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 00와 박 00은 ~~라고 연구했지만 ~~를 간과해서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나는 이런 한계를 ~~한 방식으로 보완하여 ~~연구를 할거다.

4. 연구대상(말 그대로 무엇을 연구할건지?)
그래서 나는 ~~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진 대학생 신입생,그중에서도 글쓰기 과제를 하는 신입생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5.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중 하나인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한다. 0주동안 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배포한다.

6. 연구결과(도표등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연구결과 1그룹의 00가 ~~라는 결과, 2그룹의 00%가 ~~라는 결과가 나왔다.

7. 결과분석
답변자들의 연령과 ~~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해보았더니,더 어릴수록 더 ~~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8. 결론
결론적으로 “~~~”라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9. 나가며 (없어도 괜찮습니다)
들어가기와 마찬가지로 한두문장정도로 전반적인 논문내용을 요약한뒤,자신의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설명합니다.이 연구는 ~~~~ 에서는 한계가 있지만, ~~~~~~`라는 점에서는 큰 의의가 있다.앞으로는 ~~~에 점을 보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0. 참고문헌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어차피 대학교 졸업논문은 보통 10장에서 15장정도 아닌가? 레포트를 좀 더 포멀하게 쓴다고 생각하면 될 듯.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