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기능개선

by @블로그 2022. 8. 28.
반응형

어린이집 지자체 업무지원시스템 이용 편의 향상

(보이는 보육료 ARS 결제 시스템 도입)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2021년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기능개선 사업’을 통해 어린이집과 지자체의 업무지원시스템인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을 전면 개편해 8일부터 서비스를 본격 개시한다고 밝혔다.

영‧유아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행정 업무 처리를 위해 어린이집과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은 개인정보 보호 등을 위해 플러그인이 지원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브라우저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최신 웹표준(HTML5)에 맞게 시스템을 개편해 엣지와 크롬 브라우저 등에서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를 강화했다.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기능개선



1. 간편인증 로그인(카카오, 페이코, PASS 등) 서비스
2. 접근성 및 가독성 향상을 위한 메인화면 개편
3. ‘처리해야 할 업무’ 등 알림 기능을 추가


제공해 전국 3만2천개소 어린이집과 시도·시군구 보육 담당자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자동응답(ARS) 결제시스템에 ‘보이는 보육료 자동응답(ARS) 결제시스템’을 추가 도입해 자녀의 보육료 결제 시 스마트폰 화면을 보면서 결제할 수 있도록 개선, 청각장애인 등 음성 자동응답(ARS) 사용이 원활하지 못했던 사용자들도 보다 쉽게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기능개선


보육통합정보시스템(cpms.childcare.go.kr)은 부모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어린이집과 행정기관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시스템이다.
보육 정보를 한번에 찾아 볼 수 있다는 장점으로 학부모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https://cpms.childcare.go.kr/loginF3.jsp

로그인페이지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보육통합정보시스템

cpms.childcare.go.kr


이외에도 보육 교직원의 건강검진 결과(국민건강보험공단) 정보를 보육통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해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직원의 건강 정보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한국고용정보원의 실업급여정보 등 연계를 통해 어린이집에 대한 보조금 부정수급 관리를 강화했다.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기능개선


보건복지부 유보영 보육정책과장은 “이번 기능개선 사업을 통해 어린이집 및 지자체가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을 다양한 웹브라우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개선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고자 했다”라며 “어린이집 및 지자체의 보육업무 담당자에게 최적의 업무환경을 제공해 영유아 보육에 불편함이 없도록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을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보육교직원 대상 통합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육교직원 국가자격증 누리집(chrd.childcare.go.kr)은 보육교직원 자격증 신청·발급, 교육신청 등 기존 서비스 외,

- ① 인사기록카드 관리, ② 근무경력, 교육이수, 자격 정보 관리,③ 근무상황 및 휴직·면직 신청, ④ 온라인 구인·구직, ⑤ 보육교직원 급여 조회, ⑥ 급여 모의계산 기능

등 보육교직원 관련 정보 조회 및 각종 신청의 온라인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한다.

이번 시스템 개선을 통해 지자체 및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발급받았던 각종 증명서 이외에 보육교직원의 근무이력 및 자격내용, 교육 이수현황 확인서를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정보시스템 기능 개선으로 달라지는 점 >

(지금까지는) 보육교직원이 자격/교육/경력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해서

①지자체(민원24), ②임신육아종합포털, ③보육교직원 국가자격증 포털

등 여러 사이트를 방문

(앞으로는) 보육교직원 전용서비스 창구인 ‘보육교직원 국가자격증 누리집 마이페이지’를 통해 개인별 이력관리 내용 조회 및 필요서비스를 제공 받음

- ’아이사랑‘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보육교직원이 관련 정보를 안내받고, 본인의 자격․경력․교육 등 교직원 정보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보육교직원이 어린이집에 채용될 때 제출하는 채용신체검사서와 건강진단결과서를 보건소에서 검사받은 경우에는 어린이집 원장에게 별도로 제출할 필요없이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를 연계·활용하여 어린이집으로 제공되도록 하였다.

< 정보시스템 기능 개선으로 달라지는 점 >

(지금까지는) 보육교직원이 어린이집에 채용 또는 이직 시 필요한 채용신체검사 서류를 발급받기 위하여 신체검사 후 지역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여야 함

(앞으로는) 채용신체검사 후 지역보건소에 방문 없이 ‘보육교직원 국가자격증 누리집’을 통해 어린이집에 온라인으로 제출 가능

이외에도,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1곳)와 시도육아종합지원센터(18곳)의 누리집 서버의 노후화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클라우드로 전환하여 정보시스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개선하였고,
스마트한 어린이집 업무환경 조성을 위해 어린이집에서 관련 서류를 수기로 작성하던 것을 서식의 전산화로 정보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의 개선을 완료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