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거들 방문자 수입 80%이상 하락
다들 티스토리는 괜찮으시가?
나는 이미 방문자가 70%가 줄고 수입도 거의 90%가 줄어들었다.
안그래도 거지같은 티스토리 운영때문에 에드센스가 불안정한데 이번 카카오 서버장애이후 티스토리가 형편없이 변했다.
이른바 '카톡 대란'으로 불린 카카오 서버 사고 이후 티스토리 블로거들의 수입이 급감했다. 구글과 네이버 검색을 통한 노출 유입이 대폭 줄었는데, 블로거들은 티스토리 서버가 복구되는 과정에서 아직 게시물이 검색엔진 노출까지 이어지는 로직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 중이다. 블로그에 수입 대부분을 의존하던 블로거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티스토리 이용자들의 이탈 현상까지 감지된다.
티스토리에서 생활·여행 분야 블로그를 운영 중인 이웃블로거는 하루에 2000~3000명이 꾸준히 방문하던 블로그의 트래픽 유입이 '카톡 대란' 이후 대폭 줄었다고 했다. 그는 "과거에는 특정 키워드를 치면 내 블로그가 노출 1순위로 떴는데 카카오 서버가 망가진 이후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노출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7xEGg/btrPDa7Ybjw/m24opzRLF70NEyE44plwDK/img.jpg)
나만 그런 현상이 아니라 대부분 티스토리 운영자들이 겪고 있는 일이다. 유료 호스팅을 사용해서라도 워드프레스를 갈아타야하나라는 생각이 들정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lmQZK/btrPEEUy6HH/R4BjJWVkjI5dd7P1Ek3JlK/img.jpg)
티스토리 블로거들의 증언을 종합한 결과 지난 15일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장애를 겪은 이후 티스토리 블로그 대부분에서 유입자 급감 현상이 확인됐다. 대부분의 블로거들은 트래픽 감소의 주범으로 '네이버로부터의 유입' 감소를 지목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게시물 작성 등 기본 서비스는 복구됐지만, 검색 엔진에 노출되는 로직이 이전처럼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순히 검색 노출만 줄어든 것이 아니다. 일부 블로거들은 모바일 버전 접속시에는 노출되는 광고가, PC버전으로 접속할 경우에는 노출되지 않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PC버전 블로그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모바일버전으로 강제 전송되는 '리디렉션' 현상도 보고되고 있다. 주요 검색엔진 중 'Bing 빙'에서의 유입도 대폭 줄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줄어든 트래픽은 광고 수익 급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티스토리 블로거들은 대부분 애드센스 등 광고창을 삽입한 뒤 클릭을 유도해 수익을 만드는데, 블로그 자체를 찾는 이들도 줄고 광고창 노출마다 불안정한 탓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oFHT5/btrPDruTtGd/61fV79CFBRAHv9Un3BJqPk/img.jpg)
블로거들이 모인 커뮤니티 '구글애드센스 포럼'에는 수입이 카톡 대란 이후로 대폭 줄었다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또 다른 이웃블로거는 "하루 평균 200달러 가량이 벌리던 블로그가 지난 주말 이후 10달러도 안되는 수익을 내고 있다"며 "블로그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어 막막한데 언제 정상화될지 가늠이 안된다"고 하소연했다.
블로거들의 게시물 작성 유인이 되던 '수익'이 위협 받으면서, 티스토리 이용자들이 워드프레스나 Blogger블로거(블로그스팟)로 넘어가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하지만 결국 트래픽을 감안한다면 워드프레스로 가는 게 맞다.
이웃 블로거는 "티스토리를 처음 했던 게 초대장으로 가입했던 2009년 무렵인데, 이번 사태를 보면서 티스토리에 대한 카카오의 관심이 없다는 걸 확인했다"며 "티스토리에 비해 기술적·비용적 진입 장벽이 엄청 높음에도 불구, 좀 더 안정적인 워프(워드프레스)로 갈아타기로 마음 먹었다"고 전했다.
카톡 대란 여파로 수익에 직격탄을 맞은 블로거들에 대한 보상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가 지난 19일 기자회견에서 "무료 서비스 이용자 보상은 다양한 사례를 접수한 뒤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원론적인 입장에 불과하다. 티스토리의 경우 블로그마다 누적된 과거 데이터를 통해 대략적인 피해액 계측이 가능하기에 다른 무료 서비스에 비해서는 보상이 용이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다만 무료 서비스 특성상 간접 피해를 피해자가 입증해야 하는 게 걸림돌이다. 카카오 서버의 문제로 티스토리에 장애가 생겼다는 '합리적 추론'은 가능하지만, 이를 기술적으로 입증하는 건 별개의 문제다. 카카오에서 전향적으로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이상, 개인 블로거들이 카카오의 책임을 밝혀내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
법무법인 변호사는 "배상을 요구하는 쪽에서 피해를 입증해야 하지만 티스토리 사례의 경우 이른바 정보의 편재 문제 때문에 손해액 입증이 쉽지 않다"이라며 "검색엔진 노출 장애에 따른 피해뿐만 아니라, 실제 블로거 접속 자체가 멈췄던 초기 피해에 대한 입증 역시 어려울 수 있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나 티스토리는 워프처럼 유료가 아닌 무료 서비스이기때문에 보상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하지만 티스토리 말고 다른 형태로 다른 블로그를 하나쯤 시도해 보는 게 좋을 듯하다.
'흘러가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내년에 40만원으로 인상 (1) | 2022.11.03 |
---|---|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정리와 보증채무 2천50억원 상환 (0) | 2022.10.27 |
바람 피는 사람들의 특징 10가지 (0) | 2022.10.23 |
LG 이노텍 외관검사 대규모 채용 (0) | 2022.10.07 |
중국 시진핑 대만과 전쟁 준비 집중 (2)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