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있는 백화점이건 지방에 있건 롯데나 현대나 어느 백화점을 가보더라도 백화점 구성은 대부분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죠?
예를 들면 지하 3, 4, 5 층은 주차장으로 이용하고 지하 1, 2층 부분에는 식품매장 또는 생활잡화 매장이고 1층은 구두나 화장품 액세사리 매장이고 2층은 여성복캐쥬얼 3층은 숙녀복매장 4층은 명품관..이 명품관이 요즘은 1층으로 내려와 대형매장으로 차별화를 만들고 있는 추세이고요. 5층은 남성복 6층은 스포츠캐쥬얼 그리고 상층부에는 고객센터 내지는 문화센터를 구성하고 또 식당가를 배치하기도 하죠. 이런 모양은 어느 백화점을 가보더라도 조금의 변화는 있지만 큰 줄기로서의 모양은 비슷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jwSR/btrAVsIAe2p/LCmogZ0XyvfKQSfVIcZi7K/img.jpg)
백화점에서 가장 붐비면서 복잡한 곳은 당연 1층 매장이죠. 주고객이 여성이라는 입장에서 남성복 같은 경우는 윗쪽에 위치하고요. 배치 기본 개념이 같은 성격끼리는 묶어주고 다른 성격은 띄어 주는게 기본개념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주 복잡하고 백화점이 시장통 처럼 아수라장이 되겠죠.뭐 명절을 앞둔 백화점은 아수라장이 되지만...
자 그럼 질문으로 돌아가서 식품 매장의 경우를 살펴보면 식품매장은 타 매장과 다른 점들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단 식품매장의 이용고객은 대부분 여성이란거 또 냄새가 난다는 것!!
제품의 신선함 유지를 위해서 적정온도 유지가 필요하고요. 요즘에는 백화점 매출에서 식품매장이 아주 중요하고요, 기타 많은 특성이 있지만 이러한 조건들을 고려해 볼 때 1층에 식품매장이란건 백화점 이미지 면에서도 절대 아니죠. 그렇다고 의류매장들 사이에 있는것도 냄새 때문에 어울리지 않고요. 또 상층부에서 독립시켜놓으면 되질 않나 하지만 식품매장의 물건들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고요, 대개 식품매장은 물건 입출고가 바로 지하주차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른 매장에 비해서 물건 입출고가 빈번한 이유이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이러한 조건들은 따져 볼 때 지하1층 내지 2층이 제일 어울리는거죠.
![](https://blog.kakaocdn.net/dn/rGQDI/btrAWzUXaXI/UEFKACvUjNAmqVBOFloeOk/img.jpg)
그리고 일반 할인마트의 경우를 보면 백화점과 가장 큰 차이점이 할인마트는 창고형이란거죠.
백화점은 한층에서 매장별 구분이 있지만 마트는 매장별이 아니라 창고형이죠. 물건들 전시도 여러가지 물건들이 동일한 진열대에 놓여있고 진열대의 목적은 상품의 전시가 아니라 상품적재란 말이 더 어울립니다.
그렇다보니 마트에선 고가의 고급형 물건들 보다는 실속의 저가형이 대부분이고요, 점원이 상품의 권장을 돕는게 아니라 오로지 소비자가 상품을 판단하고 구입하고 점원은 그냥 상품의 위치나 안내하는 정도죠. 이렇다 보니 마트에선 매장별 구분도 별로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또 마트는 입지가 시내 중심가 보다는 조금 외곽지역이죠. 이렇다 보니 한층규모가 상당히 큰마트가 있는데 이런 곳에선 식품매장이 같은 층에 있기도 합니다.
마트는 백화점처럼 쾌적한 환경에서 쇼핑보다는 그걸 감수하고라도 10이라도 더 싼 제품을 판매하는게 이익이죠. 그렇다고 마트가 고객의 편리에 대해서 신경을 안쓴다는 말은 아닙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피해 소상공인 370만명 600만원 지원 (0) | 2022.05.12 |
---|---|
오래 서있으면 허리가 아픈 이유은 무엇일까요? (0) | 2022.05.02 |
현대백화점 직원 웰컴 테스트 (0) | 2022.05.02 |
지식산업센터분양과 상가분양 차이점 (0) | 2022.04.21 |
향수의 종류와 추천, 사용방법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