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흘러가는 일상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다양한 달 명칭

by @블로그 2022. 6. 21.
반응형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다양한 달 명칭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을 말하는 것이다. 말이 쉬워 아메리카 원주민이지,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를 합친 넓이는 대략 42,549,000km²로서 아시아 대륙(44,579,000km²)과 비슷한 크기이기 때문에 단순히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단일 민족이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즉 아시아인이란 용어 안에 서로 완전히 다른 여러 민족이 포함되는 것처럼 굉장히 범위가 넓은 분류 용어이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다양한 달 명칭


특히 중남미의 멕시코나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일대는 아메리카판 비옥한 초승달 지대라고 할 만큼 무수한 국가들이 생겨나고 대립했던 다양성이 있다. 즉 아메리카 원주민은 아프리카인, 아시아인, 유럽인 등과 대등한 다양한 민족 집단의 총체를 의미하는 범주다.

다만 인종적으로 크게 다른 북극권 원주민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통상 '인디언' 이라고 부르는 집단에는 넣지 않는다.

이들은 다른 말로 인디언(영어, Indian)/인디오(스페인어, Indio)라 부르기도 한다. 대개 인디언은 북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을 이르는 것이고, 인디오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을 말한다.

이는 콜럼버스를 위시한 서양인들이 이곳에 처음 도착했을 때 여기가 인도(India)인 줄 착각해서이기도 하고, 나중에 여기가 인도가 아니라 아메리카임을 알고 나서도 진짜 인도를 동인도, 아메리카 동부 섬들을 서인도라고 멋대로 이름지어 부르다가 용어가 정착한 것이다. 그리고 원주민의 뿌리가 아리안 계통의 인도 쪽이라고 생각한 탓이기도 하다.




· 1월: 울프문(Wolf Moon) _ 추운 겨울 먹이를 찾아 서성이는 늑대들의 울음이 들리는 시기

· 2월: 스노우문(Snow Moon) _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 3월: 웜문(Worm Moon) _ 따뜻해지면서 땅이 녹는 시기

· 4월: 핑크문(Pink Moon) _ 분홍색 꽃인 플록스(Phlox)가 피는 시기

· 5월: 플라워문(Flower Moon) _ 아름다운 꽃이 만발하는 시기

· 6월: 스트로베리문(Strawberry Moon) _ 야생 딸기가 익기 시작하며 수확하는 시기

· 7월: 벅문(Buck Moon) _ 수컷 사슴의 이마에서 뿔이 자라는 시기

· 8월: 레드문(Red Moon) _ 한 여름 더운 공기로 인해 보통보다 달이 붉게 보이는 시기

· 9월: 하비스트문(Harvest Moon) _ 밝은 보름달로 야간 수확이 수월한 시기

· 10월: 헌터스문(Hunter’s Moon) _ 긴 겨울을 앞두고 식량을 비축해 두기 위해 사냥하는 시기

· 11월: 비버문(Beaver Moon) _ 비버가 추운 겨울을 앞두고 매우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시기

· 12월: 콜드문(Cold Moon) _ 겨울이 시작되면서 추워지는 시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