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리스타를 꿈꾸며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2) 첨부파일

by @블로그 2021. 4. 8.
반응형

바리스타(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두번째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26. 다음 중 식품의 부패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3)

① 지방질 식품의 험기적 분해 ② 지방질 식품의 호기적 분해 ③ 단백질 식품의 험기적 분해 ④ 단백질 식품의 호기적 분해

 

27. 커피체리를 수확하는 방법 중 Strip-Picke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

① Hand-Picked 방법에 비해 인건비 부담이 적다.

②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는 방법이다.

③ 기계를 이용한 방식보다 생산성이 떨어진다.

④ Hand-Picked 방법 보단 수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8. 커피 생두를 분류하는 screen의 크기에 대하여 올바른 것은? (3)

① 1/44 inch ② 1/54 inch ③ 1/64 inch ④ 1/74 inch

29. 커피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 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3)

① 나트륨 ② 인 ③ 칼륨 ④ 칼슘

 

30.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3)

① 카제인 ② 칼슘 ③ 유당 ④ 철

 

31. 커피생콩에 함유된 탄수화물은 유리당류와 다당류로 나누어진다. 이들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4)

① 커피생콩의 유리당류는 배전커피의 갈색이나 향기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②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에 속하는 주성분은 Sucrose이다.

③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의 함량은 로부스타종 보다 아라비카종에 많다.

④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의 함량은 배전 후에도 거의 감소되지 않는다.

 

32. 다음중 커피를 볶을 때, 갈변작용에 의해 생선되는 향기 성분들은? (2)

① 허브향, 캐러멜 향, 초콜릿 향 ② 고소한(Nutty) 향, 달콤한 향, 캐러멜 향

③ 캐러멜 향, 초콜릿 향, 탄 내 ④ 송진 향, 향신료 향, 탄내

 

33. 커피생콩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3)

① 커피생콩의 함량은 약 0.3~0.8%로서 배전 콩 향기의 형성에 중요한 성분이다.

② 일부 아미노산은 배전 중 쓴맛 성분과 결합하여 갈색색소 성분으로 변화된다.

③ 로부스타종의 경우 미숙한 콩과 성숙한 콩의 함량이 비슷하다.

④ 커피생콩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은 배전과정 중 거의 열분해로 소실된다.

 

34. 커피를 볶은 후, 커피의 볶음 상태를 확인할 때 지표가 될 수 없는 것은? (3)

① 볶은 커피의 색깔 ② 볶음 커피의 팽창도 ③ 커피의 종류 ④ 볶은 커피의 수율

 

35. 커피의 로스팅 정도에 따른 명도(L값)가 잘못된 것은? (4)

① 미디움 - 24.2 ② 하이 - 21.5 ③ 시티 - 18.5 ④ 풀시티 - 30.2

 

36. 커피생콩을 가열할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에 대한 시차 열분석 변화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2)

① 배전초기에 일어나는 흡열반응은 수분의 증발과 일부 성분의 탈수에 의한 것이다.

② 강배전 단계에서 일어나는 흡열반응은 생콩성분의 산화, 분해 및 연소에 의한 것이다.

③ 배전시 중량감소에 있어서 초기감소는 주로 수분의 증발에 의한 것이고, 후반은 성분의 산화 및 분해에 의한 것이다.

④ 배전콩 추출액의 갈색도는 배전후반에 급증한다.

 

37. 배전에 따른 커피콩의 물리적 변화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3)

①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비중은 감소된다. ②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수분 함량이 감소된다.

③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④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세포내 성분은 gel상으로 유동화 된다.

 

38. 생두를 로스팅 할 때 양적 변화가 가장 큰 성분은? (3)

① 아미노산 ② 카페인 ③ 수분 ④ 지방

 

39. 다음 중 커피 볶기에 있어서 첫 번째 파열음(1차 파핑)이 일어난 직후 커피의 상태로 적합지 않은 것은? (3)

① 표면에 주름이 생겼다. ② 은피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③ 오일이 나오기 시작했다. ④ 고소한 냄새가 나며, 신맛이 강하다.

 

40. 다음 배전된 커피콩의 향미 성분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① 당분, 아미노산, 유기산 등이 배전과정을 거치며 갈변반응을 통해 향기성분으로 바뀐다.

② 생두의 당분, 유기산, 카페인, 무기질 등이 화학반응하여 신맛, 단맛, 쓴맛, 떫은 맛 등을 생성한다.

③ 로부스타종보다 아라비카종에서 더 많이 생성된다.

④ 프렌치, 이탈리안 로스트로 배전이 진행될수록 향기성분이 증가한다.

 

41. 커피 생두의 30%정도를 차지하며 배전 시 커피 특유의 갈색으로 변하게 하고 향기와 감칠맛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3)

① 섬유질 ② 지질 ③ 당분 ④ 카페인

 

42. 커피콩을 로스팅할 때 일어나는 성분의 양적 변화 중 다른 하나는? (1)

① Caffeine ② Free sugar ③ Chlorogenic acid ④ Trigonelline

 

43. 커핑시 이용되는 용어들이다. 부적합한 설명은? (3)

① Taste - 혀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단맛, 신맛 및 쓴맛

② Aroma - 후각으로 느낄수 있는 커피에서 증발되는 냄새

③ Aftertaste - 커피의 농도에 따른 무게감과 밀도에 대한 감각

④ Flavor - 입속에 커피를 머금었을 때 후각과 미각으로 느껴지는 감각

 

44. 커피를 로스팅 할 때 일어나는 성분의 화학적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① 수분감소 ② 당분의 감소 ③ 클로로젠산의 감소 ④ 지방질 감소

 

45. 커피의 향미품질 평가에 대한 SCAA의 기준이다. 틀린 것은? (3)

① 커핑을 위한 커피추출은 침지(infusion)방법을 사용한다.

② 물과 커피의 비율은 물 150ml에 원두 7.25~8.25g을 사용한다.

③ 물은 미네랄이 함유된 증류수로 약93℃ 정도의 물을 사용한다.

④ 커피성분이 1.1~1.3%가 추출되도록 3~5분정도 기다린다.

 

46. 사이폰(Siphon) 추출방식이라고도 하면 커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시각적 효과가 좋은 커피추출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4)

① 달임법 ② 우려내기 ③ 모카포트방법 ④ 진공식 추출방법

 

 

바리스타2급필기예상문제02.zip
0.34MB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커피] 바리스타 실기 시험 순서

[커피] 바리스타 예상 15문제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1) 첨부파일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2) 첨부파일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3) 첨부파일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4) 첨부파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