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세번째
13. 커피의 향미를 평가하는 순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① 향기, 맛, 촉감 ② 색깔, 촉감, 맛 ③ 촉감, 맛, 향기 ④ 맛, 향기, 촉감
14.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4)
① 갓 볶은 신선한 원두
② 커피를 뽑는 사람의 기술
③ 볶음도에 알맞은 추출기구
④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
15. 다음 커피의 등급에 관한 단어들 중, 커피의 품질 정보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① 품종 ② 향미 ③ 결점도 ④ 색도
16. 카푸치노에 첨가하는 거품우유(Steaming milk)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3)
① 우유에 스팀노즐을 넣을 때 우유에 담기는 노즐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② 거품 만들기에 사용하는 우유는 신선하고 차가운 것을 준비한다.
③ 피쳐(Pitcher)는 도자기,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만든 것이 좋다.
④ 거품을 만들 때 스팀노즐을 우유 표면인 위쪽에 두면 거품생성이 잘 되지 않는다.
17. 아래 보기의 조건으로 만들어진 커피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4)
-> green bean 상태의 커피콩을 증기로 쩌, 수분률이 50-60%가 되게 한다.
-> 솔벤트, 물 CO2 등을 사용하여 커피와 카페인을 분리한다
-> 다시 커피성분을 넣고 열풍 건조시켜 수분률을 다시 13%로 맞춘다.
① 맥심(Maxim)커피 ② 인스턴트(Instant)커피 ③ 헤이즐넛(Hazel Nut)향커피 ④ 디카페인(Decaffeinated)커피
18. 우유 단백질에 속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3)
① 카제인 ② 베타-락토글로불린 ③ 오브알부민 ④ 락토페린
19. 다음은 커피 발전과정에 관한 내용들이다. 이 중 사실과 다른 것은? (1)
① 네덜란드인이 커피나무를 쟈바와 서인도 섬에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12세기말경 이다.
② 한국의 최초 커피하우스는 손탁호텔이었다.
③ 17세기 말경 미국은 영국 홍차 대신 커피 마시기를 독립운동으로 권장하였다.
④ 커피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된 17세기부터 19세기에는 프랑스의 계몽 운동과 이탈리아 르네상스 운동이 싹튼 시기로서,
커피 하우스는 사회 여론을 모으고 여과하는 장소로서 적합했다.
20. 인도네시아에서 커피를 경작하여 대규모 커피경작의 역사를 연 나라는? (2)
① 포르투갈 ② 네덜란드 ③ 프랑스 ④ 영국
21. 세계의 커피 재배 적지라고 불리어지는 “커피벨트(coffee belt)"는 어느 지역인가? (1)
① 북위 25도 와 남위 25도 사이를 말한다.
② 북위 20도 와 남위 20도 사이를 말한다.
③ 북위 25도 와 남위 20도 사이를 말한다.
④ 북위 20도 와 남위 25도 사이를 말한다.
22. 커피 생콩에 함유된 caffeine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2)
① 커피 생콩의 purine 염기류에 속하며, 품종 및 재배지에 따라서 함량 차이가 크다.
② Caffeine함량이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③ Caffeine 이외의 theobromine 등은 로부스타종 미숙과에서만 함유되어 있다.
④ 커피나무의 종자뿐만 아니라 잎에서도 소량 함유되어 있다.
23. 터키 사람들이 커피를 끓여 마시는 기구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① ibrik ② Melior ③ Kopel ④ Percolator
24. 다음 중 Cappuccino Con Panna의 재료로서 적당한 것은? (1)
① 에스프레소 1½ shot, 거품낸 우유 4.5 oz, 휘핑크림 ② 에스프레소 1 shot, 거품낸 우유 4.5 oz, 레몬슬라이스
③ 에스프레소 1 shot, 우유거품 1oz ④ 에스프레소 1 shot, 휘핑크림
25.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의 원산지로 알려진 나라는? (3)
① 우간다 ② 케냐 ③ 에티오피아 ④ 콩고
26. 수세식 공정 순서가 바른 것은? (4)
① 수확→선별→세척(이물질 분리)→과육제거→파치먼트 선별→발효조→수세→건조→창고
② 수확→선별→과육제거→수조→파치먼트 선별→발효조→수세→건조→창고
③ 수확→선별→과육제거→수조→발효조→파치먼트 선별→수세→건조→창고
④ 수확→선별→세척(이물질 분리)→과육제거→발효조→수세→건조→파치먼트 선별→창고
27. 커피생두의 질(Q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틀린 것은? (4)
① 자연환경 ② 재배가공의 선?후진성 ③ 기술, 장비부족 ④ 정치적 요인
28. 커피 전문점 관리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4)
① 연령, 소득 등에 따라 목표고객을 분석한다.
② 가장 바쁜 시간의 영업량을 미리 예측한다.
③ 동일 상권에 있어 경쟁업체를 수시로 파악한다.
④ 업장의 형태와 크기는 가능한 최대로 확보한다.
29. 바람직한 바리스타(Barista) 상이 아닌 것은? (4)
① 영업장 내에 필요한 물품재고를 항상 파악한다.
② 일일 판매할 재료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③ 영업장의 환기 및 기물 등의 청결을 깨끗이 유지관리 한다.
④ 커피 제조시 계량법을 지키지 않는다.
30. 다음은 커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4)
①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때는 맛과 향기가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② 커피를 서브할 때 한잔의 양은 100ml 정도가 적당하다.
③ 커피를 서브할 때에는 커피 컵은 뜨겁게 보관되어져 있어야 하며, 크림은 너무 차갑게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④ 커피의 적정온도는 120℃ 이상이 적당하다.
31. 커피 배전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으로 옳지 않은 곳은? (4)
① 온도의 상승으로 원두와 실버스킨이 분리됨
② 수분이 증발하고 내부 조직이 팽창되면서 1차 크랙 발생
③ 1차 크랙 발생 후 2차 크랙 발생
④ 원두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
32. 배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3)
① 배전도는 배전과정의 가열온도와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② 배전도는 기계적으로 측정한 L값(명도)으로 나타낸다.
③ 배전이 강해질수록 배전도를 나타내는 L값은 증가한다.
④ 배전콩의 갈색정도를 표준품과 비교해서 배전도를 경험으로 정하기도 한다.
33. 배전과정 중 커피생콩에 함유된 caffeine의 변화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① 열에 안정하고, 130℃이상에서는 일부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생콩에 함유된 caffeine의 대부분은 배전콩에 남는다.
② 열에 안정하지만, 130℃이상에서는 일부 승화하여 소실된다.
③ 열에 안정하고, 130℃이상에서는 일부분만이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최종 배전콩에 함유된 caffeine의 함량은 오히려 증가된다.
④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유리아미노산에 의하여 caffeine이 생합성 된다.
34. 다음 문장 중 배전과 맛의 변화를 적절히 설명한 것은? (2)
① 강배전일수록 신 맛이 강하다.
② 강배전일수록 쓴 맛이 강하다.
③ 약배전일수록 단 맛이 강하다.
④ 약배전일수록 탄 맛이 강하다.
35. 커피의 배전(Roasting)은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저온-장시간 배전과 고온-단시간 배전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 중 이 두 가지
배전의 비교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① 저온-장시간 배전은 팽창이 크고 밀도가 작은 반면, 고온-단시간 배전은 팽창이 적어 밀도가 크다.
② 저온-장시간 배전은 고온-단시간 배전보다 수용성 성분이 적어진다.
③ 고온-단시간 배전의 볶는 온도는 200℃가 좋다.
④ 저온-장시간 배전 시 1잔당 커피사용량은 10-20% 덜 쓰게 되서 경제적이다.
36. 생두를 볶는 과정에서 부피가 가장 커지는 단계는? (1)
① 프렌치 ② 하이 ③ 풀씨티 ④ 시나몬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1) 첨부파일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2) 첨부파일
'바리스타를 꿈꾸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정보] 커피의 쓴맛에 대해서 (8) | 2021.04.09 |
---|---|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4) 첨부파일 (0) | 2021.04.08 |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2) 첨부파일 (0) | 2021.04.08 |
[커피]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예상문제 (1) 첨부파일 (0) | 2021.04.08 |
[커피] 코로나 이후 커피 트렌드 (4) | 2021.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