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핑크바니입니다.
다양한 커피 정보와 카페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나만의 카페를 시작할 때 많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카페의 뜻과 에스프레소가 들어간 커피 음료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커피 전문점의 음료 메뉴는 전문가가 아니면 이름만으로는 무슨 음료인지, 어떤 맛인지 짐작하기 매우 어렵다. 카페라떼, 카푸치노, 마키아또는 모두 에스프레소 샷에 우유가 들어가는 음료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사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커피 메뉴의 이름이 무슨 뜻인지 알고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맛의 커피메뉴를 잘 선택하여 마실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마시는 아메리카노는 미국에서 명명한 커피음료이다. 에스프레소 30ml에 뜨거운 물 250ml 이상을 추가하여 300ml 이상의 음료로 만들어 머그에 제공하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에스프레소 30ml에 뜨거운 물 130ml를 추가하여 150ml 내외의 커피 한 잔을 만들어 이를 레귤러커피라고 부른다. 유럽에서의 레귤러커피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아메리카노 커피보다는 약간 진한 아메리카노 커피로 보면 된다.
커피머신에서 추출되는 커피농축액은 그 추출되는 용량의 차이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에스프레소는 25~30ml를 말하는데, 이보다 적은 15~20ml의 용량은 리스트레또(Ristretto)라고 부르고 추출량이 40ml 이상일 때에는 룽고(Lungo)라고 부른다. 추출액량에 따라 느껴지는 향과 맛에 차이가 있으므로 커피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추출액량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mmrwc/btrgANyVCAO/3KhJQpHgGnF9kVLWSgTVyk/img.jpg)
카페(Caffe)라는 이름은 본래 가벼운 식사나 차를 마실 수 있는 레스토랑을 말하는 것인데 프랑스에서는 커피(Coffee)를 카페라 하였다. 프랑스에서의 카페는 커피를 파는 집을 뜻한다. 17~18세기 무렵 영국에서는 런던을 중심으로 3,000여 개의 커피숍이 생겨났고 문인과 정객들이 클럽으로 이용하는 일종의 사교장 구실을 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영국에서는 가벼운 식사를 할 수 있는 소규모의 간편한 음식점을 카페라고 말하며, 다소 격식 있는 레스토랑과는 구별하여 사용되고 있다.
커피를 마시며 담소하는 공간으로 인식된 카페는 동양에 전해지면서 상업적인 의도에 따라 다소 의미가 달라졌다. 한국의 경우 처음에는 서양풍의 고급스런 커피숍이나 조그마한 바(Bar) 형태의 술집을 카페라고 불렀고, 그 뒤 여급이 있는 술집으로 변모하였다. 커피 등 차를 파는 집은 카페라는 이름 보다는 다방 또는 커피숍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오늘날에는 진한 커피 농축액인 에스프레소를 기반으로 하는 음료에는 커피숍(coffeeshop)의 의미를 가진 카페(caffe)라는 단어를 덧붙이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 커피음료에 카페라는 이름이 덧붙여 있는 것은 모두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하여 만든 음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적어도 커피음료의 이름에 있어 카페는 에스프레소를 지칭한다고 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카페라떼는 에스프레소라는 의미의 카페 위에 우유라는 의미를 가진 라떼를 부어서 만든 메뉴를 말하는 것이다. 카페모카는 에스프레소 위에 초콜릿의 의미를 가진 모카를 섞어 만든 음료에 붙여진 이름이다.
카페젤라또는 에스프레소에 젤라또 아이스크림을 넣은 것을 뜻하고 카페콘파냐는 에스프레소에 생크림을 올린 음료를 말한다. 콘(con)은 이태리로 ~을 넣은 이라는 접속사로서 영어로 with와 같은 뜻이다. 생크림을 나타내는 단어인 파냐를 붙여 에스프레소의 쌉싸름한 맛에 생크림의 부드러움이 잘 어우러지게 만든 메뉴이다.
![](https://blog.kakaocdn.net/dn/tiCwF/btrgHDnl1zY/BWDZn2J9LYawMSr9dQDNAK/img.png)
이와 비슷한 메뉴로는 카페비엔나가 있다. 에스프레소에 물을 넣어 희석한(유럽에서는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우유를 넣기도 한다) 아메리카노에 휘핑크림을 만년설처럼 얹은 음료이다. 스푼으로 젓지 않고 마신다. 시간이 지나면서 부드러운 단맛을 느낄 수 있다.
비엔나커피는 일본에서 붙인 이름인데, 본고장인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아인슈페너라고 부른다. 마차에서 내리기 힘들었던 오스트리아 빈 마부가 피곤을 풀기 위해 생크림과 설탕을 얹은 커피를 마신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카푸치노(Cappuccino)의 명칭은 가톨릭 남자 카푸친회 수도자들의 수도복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카푸친 수도사들은 청빈의 상징으로 모자(후드)가 달린 원피스 모양의 수도복을 입었는데, 커피 위에 얹은 우유 거품의 모습이 수도사들이 머리를 감추기 위해 쓴 후드의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고 음료의 색깔이 수도복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evloiQ/btrgANlqf4g/Sx5k4cYhMD24ttw5s5eLkK/img.jpg)
카푸치노 음료는 거품의 질감과 두께에 따라서 드라이 카푸치노와 웨트 카푸치노로 구분하여 부른다. 2cm이상 두텁고 거친 질감의 우유 거품은 다크 카푸치노(Dark Cappuccino) 또는 드라이 카푸치노(Dry Cappuccino)라고 부르고 0.5~1cm의 얇고 부드러운 질감의 우유 거품을 가진 것은 라이트 카푸치노(Light Cappuccino) 또는 웨트 카푸치노(Wet Cappuccino)라고 칭한다. 음료의 맛과 촉감이 확연히 달리 느껴진다.
마끼아또는 어떤 음료일까? 마끼아또는 이태리어로 얼룩을 만든다, 점을 찍는다라는 뜻인데, 에스프레소의 갈색이나 우유 거품의 하얀색으로 커피음료에 얼룩을 만든 것을 말한다.
카페 마끼아또는 일명 에스프레소 마끼아또라고도 불리는데 데미타세 잔에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고 그 위에 부드러운 스팀우유를 올려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라떼 마끼아또는 일반 커피잔에 스팀우유를 붓고 에스프레소를 올려 얼룩을 만들거나 에스프레소를 먼저 추출하고 스티밍한 우유를 부어 만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카페라떼(에스프레소에 0.5cm 정도의 부드러운 스팀거품을 올린 것)의 느낌과 유사하다.
카페 마끼아또가 에스프레소를 좀더 부드럽게 즐기기 위한 메뉴라면, 라떼 마끼아또는 우유에 커피가 얼룩진 것으로서 카페 마끼아또보다 훨씬 부드럽게 느껴진다. 도피오 마키아또는 에스프레소 2샷을 베이스로 하여 부드러우면서도 보다 강한 커피 맛을 느끼기 위한 음료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Ddy4B/btrgALHTqLj/GTfPQSa2RDSZseqa2KdSUK/img.jpg)
아이스 커피도 프레도(Freddo), 프라페(Frappe)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프레도(Freddo)는 주로 거품이 있는 아이스 커피 음료를 지칭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에스프레소 샷에 소량의 물과 얼음을 함께 넣어 흔들어 섞은 후 제공된다. 그 중 에스프레소에 설탕시럽과 얼음을 추가한 후 흔들어 급랭시킨 것을 샤케라토(Shakerato)라고 부른다. 샤케라또는 설탕시럽의 단맛으로 에스프레소의 진한 쌉싸름함을 완화시켜주면서 셰이킹을 통해 발생하는 풍성한 거품으로 부드러움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아이스 커피이다.
![](https://blog.kakaocdn.net/dn/q3uxP/btrgCDBNK14/INPglKMRg8Y8d9mNTnHCak/img.jpg)
프라페(Frappe)는 영어의 셰이크(Shake)와 같은 뜻의 이태리어이다. 에스프레소에 아이스크림이나 소스 등을 넣고 블랜드에 갈아 섞어서 제공되는 아이스 커피 음료의 하나다. 스무디처럼 부드러운 단맛과 진한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흔히 프라푸치노라고 불리는 음료가 바로 프라페이다.
![](https://blog.kakaocdn.net/dn/mOF8W/btrgHE0TnVs/XELevyVDj694FzatjEbksk/img.png)
겨울철 음료로 카페 꼬레또(Corretto)라는 음료가 있다. 에스프레소에 브랜디나 위스키 등의 알콜류를 첨가한 것이다. 겨울철 추위를 이기기 위해 러시아와 북유럽에서 인기있는 커피 메뉴 중의 하나다.
커피가 들어가지는 않으나 카페 메뉴로 인기가 있는 또 다른 겨울철 메뉴로 뱅쇼(vin chaud) 가 있다. 뱅쇼는 따뜻한 와인이라는 뜻으로 와인에 귤이나 사과, 레몬 등이 과일과 계피 따위를 넣고 끓여 만드는 음료이다.
이와 같이 카페에서 다루고 있는 커피 음료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를 알면 자신이 취향에 딱맞는 음료를 선택할 수 있다. 커피음료 메뉴 이름의 뜻을 알고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향과 맛의 음료를 즐겨보자.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커피정보] 커피전문점 창업 (프랜차이즈와 개인카페 비교)
[커피정보] 커피박람회로 알아보는 카페 트렌드
[커피정보] 커피가 들어간 칵테일 (커피와 술의 조화)
[커피정보] 개인 카페를 창업할 때 고려할 사항
[커피정보] 움직이는 카페 커피트럭 창업
[커피정보]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에 알맞는 온도
[커피정보] 원두커피에 들어있는 유익한 성분
[커피정보] 원두의 분쇄와 커피 맛의 차이
[커피정보] 에스프레소의 추출과 크레마
[커피정보] 에스프레소 커피 음료 이름과 제조법
[커피정보] 카페라떼, 카페오레, 카푸치노, 플랫화이트의 차이점
[커피정보] 다양한 컨셉을 시도하는 카페
[커피정보] 저가 커피 전문점 창업의 미래 (빽다방,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커피정보] 커피 블렌딩에 따른 커피의 맛과 향
[커피정보] 다양한 개인용 커피추출 도구들
[커피정보] 디카페인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정보] 카페인 양 계산방법과 하루 커피 적당량
[커피정보] 고가의 스페셜티 커피 소개 (게이샤 커피, 루왁 커피)
[커피정보] 핸드드립 기구와 사용법
[커피정보] 커피찌꺼기 재활용 방법 추천
[커피정보] 맛있는 커피의 산미와 바디감
[커피정보] 스페셜티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정보] 한잔의 커피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유통
[커피정보] 커피의 향과 맛을 결정하는 로스팅
[커피정보] 커피전문점 창업 (프랜차이즈와 개인카페 비교)
'바리스타를 꿈꾸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 저가커피시장 현황 (0) | 2021.12.28 |
---|---|
[커피정보] 커피박람회로 알아보는 카페 트렌드 (0) | 2021.11.23 |
[커피정보] 커피가 들어간 칵테일 (커피와 술의 조화) (0) | 2021.10.28 |
[커피정보] 움직이는 카페 커피트럭 창업 (0) | 2021.10.27 |
[커피정보] 개인 카페를 창업할 때 고려할 사항 (0) | 2021.10.26 |
댓글